샌안토니오 스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샌안토니오 스타스는 1997년 WNBA 창단 팀 중 하나인 유타 스타즈를 기원으로 한다. 2003년 샌안토니오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로 팀명을 변경했고, 2014년 샌안토니오 스타스로 다시 변경되었다. 2007년 플레이오프에 처음 진출했고, 2008년 WNBA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디트로이트 쇼크에게 패했다. 2017년 라스베이거스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팀은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삼성 갤럭시 (e스포츠)
삼성 갤럭시는 2000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значимые 발자취를 남긴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었으나,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팀 매각 후 해체되었다. - 2017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콜럼버스 카턴마우스
콜럼버스 카턴마우스는 1996년부터 2017년까지 활동했던 미국의 프로 아이스하키 팀으로, CHL과 SPHL에서 리그 챔피언십을 차지했으나 팀 버스 전복 사고와 재정난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 - 샌안토니오의 스포츠 - 샌안토니오 램페이지
2002년부터 2020년까지 샌안토니오를 연고지로 활동했던 AHL 소속 프로 아이스하키팀 샌안토니오 램페이지는 센트럴 하키 리그의 샌안토니오 이구아나스를 대체하여 창단되었고, NHL 팀들과 제휴 관계를 맺었으나, 2020년 베이거스 골든 나이츠에 인수되어 헨더슨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해체되었다. - 샌안토니오의 스포츠 - 샌안토니오 FC
샌안토니오 FC는 텍사스주 샌안토니오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2016년 USL에 참가하며 창단되었고 도요타 필드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2022년 USL 챔피언십 우승 및 코파 테하스 쉴드 2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엠블럼과 색상은 샌안토니오의 역사와 지역 사회 통합을 상징한다. - 200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코네티컷 선
코네티컷 선은 1999년 창설되어 WNBA 소속으로 활동하며, 모히건 선 아레나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과 파이널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200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콜로라도 이글스
콜로라도 이글스는 콜로라도주 러브랜드를 연고로 하는 프로 아이스하키 팀으로, 센트럴 하키 리그(CHL)에서 창단하여 ECHL과 아메리칸 하키 리그(AHL)로 리그를 옮기며 CHL 레이 미론 대통령 컵 2회, ECHL 켈리 컵 2회 우승을 기록했고, 현재는 NHL 콜로라도 애벌랜치의 AHL 제휴팀이다.
샌안토니오 스타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리그 | WNBA |
콘퍼런스 | 서부 콘퍼런스 |
창단 | 1997년 |
해체 | 2017년 |
역사 | 유타 스타즈 (1997년–2002년) 샌안토니오 실버스타스 (2003년–2013년) 샌안토니오 스타스 (2014년–2017년)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즈 (2018년–현재) |
연고지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경기장 | AT&T 센터 |
상징색 | 검정, 은 |
구단 정보 | |
구단주 | 스퍼스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 |
단장 | 루스 라일리 |
마지막 감독 | 비키 존슨 |
성적 | |
리그 우승 | 없음 |
콘퍼런스 우승 | 1회 (2008년) |
영구 결번 | 1개 (25번) |
2. 역사
WNBA의 8개 창단 팀 중 하나였던 유타 스타즈는 (이름은 과거 ABA 팀인 유타 스타스에서 유래되었지만, 유타 재즈처럼 끝에 "zz"를 붙였다) NBA의 유타 재즈와 같은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97년 WNBA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고, 1998년 WNBA 드래프트에서 약 2.13m 약 5.08cm 센터 마고 디덱을 선발했지만, 이후에도 리그 하위권에 머물렀다. 2000년에 처음으로 승리 기록을 세웠지만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하지 못했고, 2001년에야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새크라멘토 모나크스에게 1라운드에서 완패했다. 2002년에는 서부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휴스턴 코메츠를 꺾었으나, 결국 챔피언이 된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에게 패하며 서부 결승에서 탈락했다.
2002년 WNBA 시즌 후, NBA가 모든 WNBA 프랜차이즈를 매각하면서 유타 재즈는 스타즈의 소유권을 유지하려 하지 않았다. 유타 지역 내 구매자를 찾지 못해 프랜차이즈는 매각 또는 해체될 위기에 놓였다.[1] 그러나 피터 홀트 (NBA의 샌안토니오 스퍼스 구단주)에게 프랜차이즈가 매각되면서 텍사스주 샌안토니오로 연고지를 이전했고, 팀명은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로, 팀 색상은 스퍼스와 같은 은색과 검은색으로 변경되었다.[1]
샌안토니오 이전 후 첫 4시즌(2003–2006) 동안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2007년, 베키 해먼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한 실버 스타스는 샌안토니오 이전 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1] 1라운드에서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꺾고 서부 결승에 진출했지만 피닉스 머큐리에게 패배했다.[1]
2008년, 실버 스타스는 서부 컨퍼런스 1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 새크라멘토 모나크스와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를 꺾고 창단 첫 WNBA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디트로이트 쇼크에게 패배했다.[1] 2009년과 2010년에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피닉스 머큐리에게 패배했다.[1]
2017년 10월 17일, NBA와 WNBA는 MGM 리조트 인터내셔널에 샌안토니오 스타스 매각을 승인했고, 스타스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로 이전하여 만달레이 베이 이벤트 센터에서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1]
2. 1. 유타 스타즈 시절 (1997-2002)
WNBA의 8개 창단 팀 중 하나인 ''유타 스타즈''(이름은 과거 ABA 팀인 유타 스타스에서 유래되었지만, 유타 재즈처럼 끝에 "zz"를 붙였다)는 (전) NBA의 유타 재즈와 같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97년에는 WNBA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고, 1998년 WNBA 드래프트에서 첫 번째 팀이 되었다. 그들은 약 2.13m 약 5.08cm 센터 마고 디덱을 선발했는데, 그는 WNBA 역사상 가장 키가 큰 선수가 되었다. 디덱의 영입은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고, 1998년과 1999년 시즌에도 리그 하위권에 머물렀다. 스타즈는 마침내 2000년에 승리 기록을 세웠지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2001년, 유타 스타즈는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새크라멘토 모나크스에게 1라운드에서 완패했다. 2002년, 스타즈는 다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서부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휴스턴 코메츠를 2대 1로 꺾었다. 그러나 그들의 플레이오프 여정은 결국 챔피언이 된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에게 완패하며 서부 결승에서 끝을 맺었다.2. 2. 샌안토니오로의 이전 (2003)
NBA가 2002 시즌 후 모든 WNBA 프랜차이즈를 매각했을 때, 유타 재즈 구단주는 스타즈의 소유권을 유지하려 하지 않았다. 스타즈는 유타 지역 내 잠재적 구매자를 찾았지만 나타나지 않았고, 프랜차이즈는 외부 투자자에게 매각되거나 해체되는 상황에 놓였다.[1]피터 홀트 (NBA의 샌안토니오 스퍼스 구단주)에게 프랜차이즈가 매각되면서 텍사스주 샌안토니오로 연고지를 이전, 스타즈는 해체를 면했다. 팀명은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로 변경되었고, 팀 색상은 스퍼스가 사용하는 은색과 검은색으로 바뀌었다.[1]
2. 3.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 (2003-2013)
2002년 WNBA 시즌 종료 후, NBA가 모든 WNBA 프랜차이즈를 매각했을 때, 유타 재즈는 스타즈의 소유권을 유지하려 하지 않았다. 스타즈는 유타 지역 내에서 잠재적 구매자를 찾았지만 나타나지 않았고, 프랜차이즈는 외부 투자자에게 매각되거나 해체되는 상황에 놓였다.피터 홀트(NBA의 샌안토니오 스퍼스 구단주)가 프랜차이즈를 인수하여 텍사스주 샌안토니오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팀은 해체 위기에서 벗어났다. 팀명은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로 변경되었고, 팀 색상은 스퍼스가 사용하는 은색과 검은색으로 바뀌었다.
이전 후, 실버 스타스는 선수단을 대폭 변경하여 스타 선수인 내탈리 윌리엄스와 코레타 브라운을 인디애나 피버로 트레이드하고 실비아 크롤리와 웬 잭슨을 영입했다. 2003년과 2004년에 연패를 기록한 후, 팀은 스타 선수인 마르고 디덱을 트레이드했다.
샌안토니오로 이전한 첫 4시즌(2003–2006) 동안, 프랜차이즈는 이전의 부진을 극복하지 못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이는 전미 농구 협회(NBA) 소속 샌안토니오 스퍼스와는 대조적이었다.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유타 스타즈는 87승 99패를 기록했고,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는 41승 88패를 기록했다.
2007년 WNBA 시즌은 실버 스타스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베키 해먼, 루스 라일리, 샌도라 어빈을 트레이드로 영입하고, 샬럿 스팅의 해산 드래프트에서 헬렌 달링을 지명했으며, 2라운드에서 카밀 리틀을 드래프트했다. 비시즌 동안 에린 뷰셔와 계약했고, 마리 페르디난드-해리스, 비키 존슨, 샤나 크로슬리, 켄드라 웨커, 소피아 영 등 핵심 선수들을 잔류시켰다. 새로워진 실버 스타스는 서부 컨퍼런스에서 즉시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2007년 8월 4일, 실버 스타스는 2003년 샌안토니오로 연고지를 이전한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1라운드에서 실버 스타스는 새크라멘토 모나크스와 맞붙어 1차전에서 패했지만, 2, 3차전을 승리하며 서부 결승에 진출했다.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서는 1번 시드인 피닉스 머큐리를 만났다. 실버 스타스는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심판의 논란이 있는 판정으로 102–100으로 패했다.[1] 2007년 9월 1일, 실버 스타스는 피닉스에서 열린 2차전을 98–92로 패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2008년 WNBA 시즌을 앞두고 실버 스타스는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고, 기대에 부응했다. 시즌 초반 주춤했지만, 곧 서부 컨퍼런스 선두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 1번 시드를 획득했다. 1라운드에서 다시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만나 1차전을 승리했지만, 2차전에서 패했다. 3차전에서 실버 스타스는 14점 차로 앞서다가 막판 추격을 허용하며 연장전까지 갔지만, 결국 86–81로 승리하며 2시즌 연속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 진출했다. 서부 결승에서는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를 만났다. LA에서 열린 1차전에서 패했지만, 2차전에서 소피아 영의 극적인 슛으로 67–66 승리를 거두었다. 3차전에서는 베키 해먼이 35득점과 결정적인 자유투 4개를 성공시키며 스파크스를 76–72로 꺾고 WNBA 파이널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WNBA 파이널에서는 세 시즌 연속 WNBA 파이널에 진출한 디트로이트 쇼크를 만났다.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실버 스타스는 초반에 뒤졌지만, 4쿼터 종료 2분 15초를 남기고 69점으로 동점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후 쇼크가 다시 리드를 잡고 77–69로 승리했다.
2. 4. 샌안토니오 스타스 (2014-2017)
2002년 시즌 후, NBA가 모든 WNBA 프랜차이즈를 매각할 때 유타 재즈는 스타즈의 소유권을 유지하려 하지 않았다. 지역 내 구매자를 찾지 못하자, 스타즈는 매각 또는 해체의 위기에 놓였다. 그러나 피터 홀트(NBA 샌안토니오 스퍼스 구단주)에게 프랜차이즈가 매각되면서 텍사스주 샌안토니오로 연고지를 이전, 팀명을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로 변경하고 팀 색상도 스퍼스와 같은 은색과 검은색으로 바꿨다.[1]2007 시즌, 실버 스타스는 베키 해먼, 루스 라일리, 샌도라 어빈을 트레이드로 영입하고, 샬럿 스팅 해산 드래프트에서 헬렌 달링을 지명, 2라운드에서 카밀 리틀을 드래프트했다. 또한, 에린 뷰셔와 계약하고, 마리 페르디난드-해리스, 비키 존슨, 샤나 크로슬리, 켄드라 웨커, 소피아 영 등 핵심 선수를 유지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그 결과, 실버 스타스는 서부 컨퍼런스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떠올랐고, 2003년 연고 이전 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1라운드에서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꺾고 서부 결승에 진출했지만, 피닉스 머큐리에게 패배했다.[1]
2008 시즌, 실버 스타스는 서부 컨퍼런스 1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 1라운드에서 다시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꺾고 2년 연속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 진출했다. 서부 결승에서는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를 꺾고 창단 첫 WNBA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디트로이트 쇼크에게 패배했다.[1]
2009 시즌에는 15승 19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피닉스 머큐리에게 1승 2패로 패배했다.[1] 2010 시즌에도 14승 20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피닉스에게 스윕을 당하며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
2. 5. 라스베이거스로의 이전 (2017)
2017년 10월 17일 NBA와 WNBA는 MGM 리조트 인터내셔널에 샌안토니오 스타스 매각을 승인했고, 스타스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로 이전하여 만달레이 베이 이벤트 센터에서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1]3. 역대 홈경기장
경기장 | 사용기간 | 수용인원 | 장소 | 비고 |
---|---|---|---|---|
AT&T 센터 | 2003년~2014년 2016년~2017년 | 18,581명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2003년~2006년에는 SBC 센터였다. 현재 NBA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경기장명은 프로스트 뱅크 센터이다. |
프리먼 콜리시엄 | 2015년 | 9,800명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AT&T 센터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2015시즌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
4. 유니폼
샌안토니오 스타스는 연고지 이전 후 팀 색상을 샌안토니오 스퍼스가 사용하는 은색과 검은색으로 변경했다.[1]
연도 | 홈 유니폼 | 원정 유니폼 |
---|---|---|
2003–2006 |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은색, 가슴에 검은색 "Stars" 로고 | 은색 테두리가 있는 검은색, 가슴에 흰색 "Stars" 로고 |
2007–2010 | 옆면에 검은색 별이 있는 은색, 가슴에 검은색 "Stars" 로고, 선수 이름은 등번호 아래에 표기 | 옆면에 은색 별이 있는 검은색, 가슴에 흰색 "San Antonio" 텍스트, 선수 이름은 등번호 아래에 표기 |
2011–2013 | 아디다스 레볼루션 30 기술 적용, 둥근 숫자와 양쪽 유니폼에 팀 별칭, 2013년 등번호 수정 | 아디다스 레볼루션 30 기술 적용, 둥근 숫자와 양쪽 유니폼에 팀 별칭, 2013년 등번호 수정 |
2014–2017 | 유니폼 스폰서 H-E-B 추가, "Stars" 글씨체 업데이트 | 유니폼 스폰서 H-E-B 추가, "Stars" 글씨체 업데이트 |
5. 역대 시즌별 성적
S. 데일리 (6–6)
S. 데일리 (3–5)
패배 컨퍼런스 결승 (피닉스, 0–2)
승리 컨퍼런스 결승 (로스앤젤레스, 2–1)
패배 WNBA 파이널 (디트로이트, 0–3)